분류 전체보기(145)
-
[BOJ/C++] #1789번: 수들의 합
https://www.acmicpc.net/problem/1789 1789번: 수들의 합 첫째 줄에 자연수 S(1 ≤ S ≤ 4,294,967,295)가 주어진다. www.acmicpc.net 문제 서로 다른 N개의 자연수의 합이 S라고 한다. S를 알 때, 자연수 N의 최댓값은 얼마일까?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S(1 ≤ S ≤ 4,294,967,295)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자연수 N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00 예제 출력 1 19 풀이 탐욕법을 이용하면 쉽게 풀 수 있다. N이 최대가 되기 위해선 작은 수부터 더해야 함을 알아야 한다. * int형이 나타낼 수 있는 최대 숫자와 문제가 주는 최대 범위가 맞는지 꼭 확인할 것. #include #include #include us..
2022.07.25 -
[선형대수학] R3 열공간의 평면식 구하기
이번 포스팅에선, R3 열공간의 평면식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열공간, 기약 행 사다리꼴 행렬 개념을 모르신다면, 학습하고 오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목차 📃 행렬 정의, 열공간의 기저 구하기 📃 열공간의 기저로 평면식 구하기 행렬 정의, 열공간의 기저 구하기 📌 행렬 정의 행렬 A(MxN)를 정의합니다. 📌 행렬 A를 기약 행 사다리꼴 행렬로 변환합니다. 변환 이유는, pivot 행렬을 구하기 위함입니다. (1) 실행 (2) 실행 (3) 실행 기약 행 사다리꼴 행렬이 완성되었습니다. pivot 행렬은 첫 번째 열 벡터와 두 번째 열 벡터입니다. 이 두 개의 행렬로 다른 두 개의 행렬을 모두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라 V1, V2는 선형독립이며, 행렬 A의 열공간의 기저라고 할 수 있습..
2022.07.24 -
[선형대수학] 행렬의 열공간 (Column Space of a Matrix)
이번 포스팅에선 행렬의 열공간 (Column Space of a Matri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영공간에 대한 개념을 모르신다면 아래의 포스팅들을 보고 와 주시길 바랍니다. 포스팅의 목표: 행렬의 열공간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행렬의 영공간이란?] https://mengu.tistory.com/82 [선형대수학] 행렬의 영공간 (Null space of a matrix) 행렬의 영공간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입니다. 행렬은 어느정도 이해가지만, 영공간은 대체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영공간을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부분 공간에 대한 복습이 이뤄져야 합니 mengu.tistory.com [행렬의 영공간 계산하기] https://mengu.tistory.com/91 [선형대수학] 행렬의..
2022.07.22 -
[C++] STL 개념 쉽게 이해하기
STL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가봅시다. 자세한 예시보단 큰 틀을 파악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는 포스팅입니다. 목차 📃 STL 개념 📃 STL 컨테이너 📃 STL 반복자 📃 STL 알고리즘 STL 개념 📌 개념 STL(Standard Template Library). STL은 데이터 저장, 접근, 알고리즘 실행을 쉽고 빠르게 하는 하나의 틀입니다. 비슷한 데이터를 한데 묶을 수 있게 하며(데이터 추상화), 그 데이터를 대상으로 특정 알고리즘을 언제 어디서든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코드 재사용) 합니다. 📌 일반화 프로그래밍 C++가 가지는 주요 특징 중 하나가 일반화 프로그래밍입니다. 데이터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객체 프로그래밍과 달리 일반화 프로그래밍은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어떤 데이터가 오든..
2022.07.20 -
[Algorithm] 탐욕법(Greedy) 알고리즘 개념 및 예제
이번 포스팅에선 탐욕법(그리디)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념과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조건을 알아보고, 동전 문제를 통해 활용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 언어는 C++로 진행됩니다. 목차 📃 그리디 알고리즘 개념 및 조건 📃 그리디 알고리즘 예제 - 동전 문제 그리디 알고리즘 개념 및 조건 📌 개념 그리디 알고리즘은 가장 최선의 선택만을 쫒아가는 알고리즘입니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의 경우, 다양한 경우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최선의 수를 찾고자 했습니다. 그와 달리, 그리디 알고리즘은 오직 눈앞의 최선만을 쫒아 갑니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Best Solution을 찾기 위한 알고리즘은 아닙니다. 그저 최선을 쫓다보면 결과도 좋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가 구현된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때문에 현..
2022.07.18 -
[BOJ] #1966번: 프린터 큐
https://www.acmicpc.net/problem/1966 1966번: 프린터 큐 여러분도 알다시피 여러분의 프린터 기기는 여러분이 인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인쇄 명령을 받은 ‘순서대로’, 즉 먼저 요청된 것을 먼저 인쇄한다. 여러 개의 문서가 쌓인다면 Queue 자료구조에 www.acmicpc.net 문제 여러분도 알다시피 여러분의 프린터 기기는 여러분이 인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인쇄 명령을 받은 ‘순서대로’, 즉 먼저 요청된 것을 먼저 인쇄한다. 여러 개의 문서가 쌓인다면 Queue 자료구조에 쌓여서 FIFO - First In First Out - 에 따라 인쇄가 되게 된다. 하지만 상근이는 새로운 프린터기 내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는데, 이 프린터기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인쇄를 하게 된다..
2022.07.15